발전소 취업/발전소 지식창고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4~20mA 신호의 비밀 PartⅢ

전기만드는 다스베이더 2025. 3. 5. 21:09
728x90
반응형

 

4~20mA 신호의 비밀 파트2에 이어

파트3로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발전소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공기구동밸브(Air-operated valve)와

포지셔너(Positioner)에서

3~15psi를 사용하는 이유도

비슷한 이유입니다.

예를 들어, 공기구동밸브

(Air-operated valve)는 급수나

증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에

많이 사용합니다.

이 밸브는 급수나 증기의 양을 조절하여

터빈의 출력을 조정하거나

탱크의 수위를 조절합니다.

포지셔너(Positioner)는 밸브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장치로,

밸브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도달하도록 공기압을 조절합니다.

포지셔너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밸브를 열거나 닫는 정도를 결정합니다.

포지셔너는 공기구동밸브에 같이 설치되어

밸브 개도를 조절하는데

신뢰성을 높이게 됩니다.

발전소의 제어 시스템은

밸브 포지셔너에 3~15psi의

공기압 신호를 사용합니다.

3psi는 밸브가 거의

닫힌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3psi 신호가

포지셔너에 입력되면,

포지셔너는 밸브를 거의

완전히 닫도록 설정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차단됩니다.

15psi는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냅니다.

 

 

15psi 신호가 입력되면,

포지셔너는 밸브를

완전히 열도록 조정하여

최대의 유체 흐름을 허용합니다.

그렇다면 왜 0psi를 사용하지 않고,

3psi부터 사용할까요?

만약 제어 시스템이 0psi 신호를

사용했다면, 밸브가 완전히

닫혀 있는 것인지 아니면

공기 공급이나 신호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3psi를 최소값으로 사용함으로써,

3psi 이하의 신호가 감지되면

시스템은 문제가 발생했다고

인식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여러 제어 장비들(포지셔너,

제어 밸브 등)은 3~15psi 신호를

표준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발전소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May the Force be with you.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