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전회의의 중요성 10가지
예방대책을 파트1에서 알아보았는데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는
10번사항 'PJB'와 'TBM'입니다
PJB(Pre-Job Briefing)
PJB는 작업전회의라고도 하며
특정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주제어실 운전부와 현장원전원,
정비원들이 모여 그 작업의
모든 세부 사항을 철저히
논의하는 절차입니다.
이 회의는 작업의 복잡성과
발전소에 미치는 위험도에 따라
더 철저하고 길게 진행됩니다.
PJB는 주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터빈을 정지시키거나
펌프나 모터를 정지시킬 확률이 높은
주요정비나 고전압 전기 작업처럼
위험이 큰 작업이 있을 때입니다.
PJB를 통해 운전부서와 정비 관련한
작업자 모두가 작업의 목표, 절차,
위험 요소 등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합니다.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 범위 설명:
대부분 주제어실에서 교대조장,
주제어실 교대담당자,
현장운전원이 참여하며,
작업하고자 하는 정비부서에서
작업의 목적과 범위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면 "오늘 작업은 발전소
2호기 발전기 부품교체 작업입니다.
작업은 발전기 본체 내부에서 진행됩니다"
2. 작업 절차 검토:
작업부서에서 작성한
작업계획서를 가지고
작업절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예를 들면 "작업은 발전기
롤러 베어링 교체입니다.
발전기를 중지하고, 안전 잠금을 걸고,
베어링을 접근하여
교체 작업을 진행합니다.
작업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6시간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진행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3. 위험 요소 평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웁니다.
이는 물리적 위험(높은 전압,
높은 온도 등), 환경적 위험
(독성 물질 노출, 가스 누출 등),
인간 요인(작업자의 무지, 피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작업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위험 요소를
식별하여 대책을 세웁니다.
4. 역할 분담:
각 팀원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히 하여 작업자들이
본인의 역할에 대하여 숙지합니다.
예를 들면 "현장 운전원은 발전기
전원을 차단후 보고하는 역할,
전기부서는 발전기 절연저항
측정점검 업무,
기계부서는 중장비물 이동 및
베어링 교체작업" 등의
역할분담을 얘기합니다.
5. 비상 계획 설명: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면 비상상황시 현장과
주제어실 의사소통은
무전기로 할 것인지 페이지폰
(pagephone)으로 할것인지 정하고,
작업계획서의 상황과 맞지 않은
상황 발생시(의도치 않은 설비 정지 등)
작업중단 후 협의 등의
내용이 되겠습니다.
6. 질의응답:
질문을 받고 답변하며, 작업자들이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합니다.
반론자가 지정되어 있다면
반론자 의견을 듣고 의견을 공유합니다.
7. 서명 및 기록:
참석자들이 서명하고
회의 내용을 기록합니다.
이렇게 PJB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대부분의 회의가
15분에서 30분 내외로 소요됩니다.
TBM(Toolbox Meeting)
TBM은 매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작업자들이 모여 당일 작업의
안전 주제와 주요 사항을
간단히 논의하는 짧은 회의입니다.
TBM은 일상적인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 작업 시작 전에
모여서 그날의 작업과 관련된
안전 주제를 논의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자들이 안전에 대해
다시 한번 인식하고,
주의 깊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절차는 PJB 항목과 비슷하지만
짧고 간결하다고 보시면됩니다.
1. 회의 소집:
작업자가 모입니다.
주로 현장감독과 작업자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작업 설명:
당일 작업과 관련된
주요 작업과 안전 주제를 설명합니다.
3. 작업 절차 설명:
수행하는 작업 절차와 방법을
간단히 설명합니다.
4. 위험 요소 식별: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을 강조합니다.
5. 질의응답:
질문을 받고 답변하며, 작업자들이
충분히 이해했는지 확인합니다.
6. 출석 기록:
참석자들의 서명을 받아 기록합니다.
PJB와 유사하지만 소요시간이
5분에서 10분정도로 짧습니다.
작업 전에 작업자들이 모여 안전 절차와
작업 계획을 공유하고,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인식하고 대응하기 위한
회의입니다.
발전소에서 이러한
주요 사전회의를 통해서 매일매일
작업을 관리하고 수행한다고 보시면됩니다.
면접이나 자기소개서에서
활용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발전소 취업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ay the Force be with you.
'발전소 취업 > 발전소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작업전 회의(Pre Job Briefing)의 중요성 Part Ⅰ (0) | 2025.02.02 |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발전소 최후의 터빈보호 파수꾼: 터닝기어(Turning Gear) Part Ⅱ (0) | 2025.01.18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발전소 최후의 터빈보호 파수꾼: 터닝기어(Turning Gear) PartⅠ (0) | 2025.01.17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계획예방정비(OH)는 무엇인가? PartⅡ (0) | 2025.01.11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계획예방정비(OH)는 무엇인가?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