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닝기어 파트 1에 이어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o 터닝기어 고장 시 조치
터닝기어가 고장 났을 때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합니다.
예비 자재 준비 :
복합화력발전소는 터닝기어의
고장을 대비해 항상 예비 자재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예비 모터나 기어박스를 준비하여
고장 원인을 정확히 파악 후
정밀점검 실시 후 신속하게 교체,
수리할 수 있습니다.
수동 터닝:
터닝기어 고장 시, 수동으로 터빈과
발전기를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안전 장비를 착용하고
전문가의 감독 하에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터닝기어는 주로 매우
낮은 속도로 회전합니다.
일반적으로 터닝기어의
회전 속도는 2~3 RPM입니다.
정확한 속도는 장비의 설계와
운영 요구 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다음과 같은 범위 내에서
설정됩니다:
이 낮은 속도는 터빈과 발전기의 축을
천천히 회전시켜 열팽창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윤활유를 고르게 분포시킴으로써
장비의 균형을 유지하고 마모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터닝기어의 속도가 이 범위를
초과하면 장비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너무 느리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축의 금속 온도가
100℃ 이하로 내려가면
터닝기어 운전을 중지할 수 있으나
상온으로 냉각될 때까지
계속 운전하는 편이 좋습니다
o 발전소 터닝기어 설치 위치
터닝기어는 발전소에서 터빈 및
발전기의 중요한 부속 장치로
설치됩니다.
일반적인 터닝기어의
설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터빈 앞단(Front End of Turbine)
터닝기어가 터빈 앞단에
설치되는 경우, 주로 터빈의
첫 번째 축 베어링 근처에
위치합니다.
여기서 터닝기어는 터빈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축을
천천히 회전시켜, 터빈 블레이드와
축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후단에 설치된 터닝기어는
터빈의 전체 축 시스템이
균일하게 회전하도록 도와줍니다.
2. 발전기 앞단
(Front End of Generator)
발전기의 앞단에 설치된
터닝기어는 발전기의
주 축 베어링 근처에 위치합니다.
이는 발전기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축의 균형을 유지하고,
회전 부품의 윤활유 분포를 보장합니다.
o 터닝기어 설비 구성
터닝기어는 복합화력발전소와 같은
발전소에서 터빈 및 발전기의
축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터닝기어 설비는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는 서로 연계되어
터닝기어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터닝기어 모터
(Turning Gear Motor)
기능: 터닝기어 모터는
터닝기어 시스템의
핵심 동력원입니다.
이 모터는 전기 모터나
유압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빈과 발전기의 축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회전력을 제공합니다.
특징:
저속 고토크 모터로 설계되어,
일반적으로 2~3 RPM 이하의
속도로 회전합니다.
정밀한 속도 제어가
가능해야 합니다.
2. 기어 박스(Gearbox)
기능:
기어박스는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터빈 및 발전기의 축에
전달합니다.
모터에서 발생한 고속 저토크
회전력을 저속 고토크 회전력으로
변환합니다.
특징:
감속비가 크며, 고내구성 재질로
제작됩니다.
다양한 감속비를 제공하여 필요한
회전 속도를 맞출 수 있습니다.
3. 클러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Clutch and Brake System)
기능:
클러치 시스템은 터닝기어 모터와
터빈 또는 발전기의 축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터닝기어 작동을 멈추거나,
유지 보수 시 축을 고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징:
신속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며,
고정밀 제어가 필요합니다.
브레이크는 정지 상태에서
축을 고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기능:
터닝기어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합니다.
모터 속도, 기어박스 상태, 클러치 및
브레이크 작동 등을 제어하며,
터닝기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특징:
자동 및 수동 제어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안전한 작동을 위한
다양한 센서와
피드백 시스템이 포함됩니다.
5. 윤활 시스템(Lubrication System)
기능:
터닝기어의 기어박스와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여 마찰과
마모를 줄입니다.
윤활유의 적절한 분포를 통해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합니다.
특징:
자동 윤활 시스템으로, 윤활유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윤활유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포함됩니다.
6. 축 연결 장치(Shaft Couplings)
기능:
터닝기어와 터빈 및 발전기의 축을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축 연결 장치는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축의 정렬을 유지합니다.
특징: 고강도 재질로 제작되며,
유연한 커플링은 정렬 오차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7. 베어링 시스템(Bearing System)
기능: 터닝기어의 회전 축을 지지하며,
회전 중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킵니다.
베어링 시스템은 축의
원활한 회전을 돕고, 마찰을 줄입니다.
특징: 고정밀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자체 윤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베어링 온도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포함됩니다.
파트 3로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발전소 취업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ay the Force be with you.
'발전소 취업 > 발전소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작업전 회의(Pre Job Briefing)의 중요성 Part Ⅱ (0) | 2025.02.03 |
---|---|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작업전 회의(Pre Job Briefing)의 중요성 Part Ⅰ (0) | 2025.02.02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발전소 최후의 터빈보호 파수꾼: 터닝기어(Turning Gear) PartⅠ (0) | 2025.01.17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계획예방정비(OH)는 무엇인가? PartⅡ (0) | 2025.01.11 |
발전소 취업 준비생 상식, 계획예방정비(OH)는 무엇인가?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