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중요한 계측기6에 이어 마지막 파트입니다.
마직막에 다룰 계측기는
화학분석장비입니다.
화학 분석 장비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물, 증기 및 기타 유체의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수처리시설에서 관리하고
운영하는 설비들입니다.
이러한 유체의 화학적 균형을
보장하는 것은 발전소 장비의 효율성,
안전성 및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식,
스케일링 및 기타 문제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발전소 계측제어부에서 관리되는
주요 분석기기의 종류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pH 센서입니다.
전극 기반 pH 측정기는
유리 전극을 사용하여
수소 이온 농도를 측정합니다.
pH 측정기는 보일러, 냉각 시스템 및
급수에서 물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측정하여 물이
최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적절한 pH 수준을 유지하면 파이프,
보일러 및 기타 장비의 부식
(물이 너무 산성인 경우) 및 스케일
(물이 너무 알칼리성인 경우)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H 측정은 물의 화학적 성질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
(예: 산 또는 염기)의 투여를
제어하는 데 중요합니다.
두 번째로 전도도 센서입니다.
접촉식 전도도 측정기는 전극을
사용하여 물 속에서 직접
전기 전도도를 측정합니다.
전도성이 높다는 것은 보일러와
터빈에서 부식, 스케일링,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불순물을 나타냅니다.
이는 증기 발생과 같은 고순도
용수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전도도 측정은 물에서 이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인
탈염과 같은 공정을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세 번째로 용존산소 분석기입니다.
전기화학 분석기는
전기화학 전지를 사용하여
산소 수준을 측정합니다.
용존 산소는 보일러 시스템 부식의
주요 원인입니다.
산소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면 공장의 물과 증기 시스템의
부식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탈기 공정은 물에서 용해된
가스를 제거합니다.
분석기는 특히 보일러 급수의
낮은 산소 수준을 유지하는 데 있어
이 프로세스가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네 번째로 실리카 분석기입니다.
비색 실리카 분석기는 색상 변화를
생성하는 시약과 반응하여
물 속의 실리카 농도를 측정합니다.
실리카는 터빈 블레이드에 침전되어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잠재적으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발전소에서 주요 관심사입니다.
실리카 분석기는 이온 교환이나
역삼투압과 같은 정수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리카 수준을 허용 가능한
한도 내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섯 번째로 염소 분석기입니다.
전류 측정 분석기는 염소와 관련된
화학 반응에서 생성된 전류를 감지하여
염소 농도를 측정합니다.
냉각수 시스템에서는 생물학적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도한 염소 수준은 금속 부품에
부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은 부식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소독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여러 현장의 센서들에서
입력신호를 받고 신호를 증폭하고,
변환시켜 주제어실에 있는
데이터 수집 및 제어시스템으로
신호가 들어오게됩니다.
주제어실에서 현장의 주요 변수들
(온도, 압력, 유량, 수위, 진동 등)을
모니터링 하는 것도 이러한
현장의 센서들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데이터 수집 및 제어 시스템에는
SCADA(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
DCS(분산 제어 시스템)이
있는데 블로그에 별도로 올렸으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셨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의 발전소 취업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ay the Force be with you.
'발전소 취업 > 발전소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발전소 신호의 비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출력 Part Ⅱ (0) | 2025.04.12 |
---|---|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발전소 신호의 비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입/출력 Part Ⅰ (0) | 2025.04.10 |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중요한 계측기 Part Ⅵ (0) | 2025.03.30 |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중요한 계측기 Part Ⅴ (0) | 2025.03.25 |
발전소 취업준비생 상식,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중요한 계측기 Part Ⅳ (0) | 2025.03.19 |